세계일보

검색

조계종 교구의 활성화, ‘권한 분산에 있어’

입력 : 2015-10-23 17:26:46 수정 : 2015-10-23 17:39:2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교구본사 기능·역할 논의, 가톨릭 사례 등 비교 방안 모색

수행과 전법을 총괄해야 할 교구본사가 중앙과 말사를 잇는 ‘중간 행정조직’의 역할에만 치중하고 있어 불교조직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에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기룡 교수는 22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소장 법안 스님)가 서울 견지동 전법회관에서 개최한 교구 활성화 방안 연구 세미나를 통해 “교구본사는 종무행정의 허브가 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교구 활성화를 위한 본사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발제하고 있는 조기룡 교수.

조계종단의 교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된 이날 세미나에서 조 교수는 교구본사의 한계점을 다각적으로 지적하며, 교구 활성화를 위한 본사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발제했다.

그는 먼저 “조계종은 1994년 소위 개혁불사(改革佛事)로 회자되는 전면적인 종단개혁 추진을 통해 종단의 중앙에 집중된 권한과 기능을 교구로 이양하려 했으나 20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도 교구가 여전히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이는 중앙에 집중된 권한과 기능을 교구로 이양하는 것이 개혁종단의 주요 과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총무원장 선거 때마다 교구분권, 교구자치, 교구중심, 교구제 등의 교구 활성화 방안이 후보자들의 주요 종책(宗策)으로 매번 등장하고 있는 것만 봐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것.

조 교수는 교구의 역할에 대해 “인사권과 재정권 등의 ‘종무권한’과 붓다 가르침의 실천행인 ‘포교’ 그리고 출가자의 본분사인 ‘수행’을 활성화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며 “교구의 활성화는 권한의 분산뿐만 아니라 종교조직으로서 포교와 수행을 아우를 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조계종의 여건상 교구 자치는 본사의 기능과 역할에 달려있고, 각 교구의 활성화 여부 또한 해당 본사의 능력에 좌우되는 것이다”며 “하지만 교구 자치를 시행한지 20여년이 경과한 지금 각 본사가 그 중추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 교수는 ‘수행과 포교보다는 종무행정에 치중된 점’, ‘문중 위주의 폐쇄적 운영을 하고 있는 점’, ‘재가의 참여가 형식적·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점’, ‘전담인력의 부족과 인력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점’, ‘본사주지의 독단을 견제할 수 있는 기구가 없다는 점’ 등을 교구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교구본사의 한계점으로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한계점 해소를 위해 ‘본사는 각 지역 거버넌스의 중추가 돼야 한다’, ‘본사는 중앙과 말사를 잇는 전달자에서 벗어나 종무행정의 허브가 돼야 한다’, ‘본사는 수행과 포교의 중심지로 나아가야 한다’, ‘각 본사는 획일화·평준화 되어 있는 해당 교구들을 특성화시켜야 한다’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조 교수는 “교구본사가 종무행정의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종립대학이자 종합대학인 동국대를 통해 종무행정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며 “더 나아가 포교원-본사-말사를 연계하는 포교 시스템의 구축과 유휴 포교사의 활용이 있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교구종회의 실질화와 통합교구법의 제정이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이와 함께 현행 ‘지방종정법’ 내지 ‘(가칭)교구법’의 하위법령으로 교구별 자치법령인 ‘조례’와 ‘규칙’을 제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화쟁문화아카데미 박재현 사무국장은 “교구제도 시행 50여년이 지났지만 교구책임제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훈련의 과정이 부족하다”며 ‘교구책임제의 과제와 개선방안’에 대해 발제했다.

박 사무국장은 “교구는 단순한 종무행정 기관이 아니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사부대중이 수행과 포교, 전법을 추진하고 총괄하는 자치공동체의 공간이다”며 “결국 교구책임제는 수행과 포교, 전법이 지역사회로 회향돼 전략과 비전이 중앙과 교구 그리고 말사 및 기관·단체까지 물 흐르듯 이어져 실천될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그는 “무엇보다 교구책임제 시행을 위해서는 총무원장을 비롯해 종도들의 공감대 형성과 실천의지가 핵심이다”며 “한국불교 미래의 희망은 교구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특별히 한국 가톨릭문화연구원 박문수 부원장이 세미나에 참여해 ‘가톨릭의 교구 운영 사례’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주최한 교구 활성화 방안 연구 세미나 전경.

박 부원장은 가톨릭 교구제의 특징인 속지주의(屬地主義)에 대해 “교구 경계 내의 모든 신자는 교구에 속하고 교구장 관할권아래 있다”며 “미사는 다른 교구에서도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교적은 반드시 거주지 교구에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교구장은 교구 소속 성직자들의 생계와 활동을 책임져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며 “처음 사제 선발 과정에서부터 사제로 사망할 때까지 발생하는 모든 사안을 책임지는데 대부분의 교구들이 사제 은퇴 후 미사예물로 조성한 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현태 기자 jknewskr@segye.com

<종교신문>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